쓰레드 (2) 썸네일형 리스트형 [2주차 스터디 노트] 쓰레드, 멀티 프로세스/쓰레딩, 프로세스 상태 변화 프로세스 상태 프로세스의 수행 상태 변화는 운영 체제의 프로세스 관리의 중요한 부분이다. 운영 체제는 프로세스의 생명 주기 동안 여러 가지 상태를 가지며, 프로세스의 현재 상황과 다음에 수행해야 할 작업을 나타낸다. OS에서는 이 상태를 PCB를 통해 인식하고 관리한다. 새로 생성된 상태 (New) 프로세스가 생성되고 초기화되는 단계이다. 프로세스는 프로세스에 필요한 초기 리소스와 설정을 할당받있지만, 아직 실행 준비가 완전히 되지 않은 상태. -> 프로세스가 필요한 모든 리소스를 할당받고, 실행을 위한 준비가 완료되면 "준비 상태"로 전환된다. 여기서 할당받을 리소스들은 다음과 같다. - 프로세스 식별자 (PID): - 프로세스 제어 블록 (PCB): - 프로세스 실행을 위한 최소한의 메모리 공간 - .. [2주차 스터디 노트] 프로세스, 프로세스의 메모리 구조, 문맥 교환 프로그램과 프로세스 프로그램은 저장장치에 존재하는 컴파일된 코드의 집합이다. 이것이 실행되기 전까지는 그저 저장장치에 존재되는 데이터에 불과하지만, OS에서 명령을 받아 메모리에 적재하게 되면 그때부터는 운영체제의 관리를 받으며 CPU 자원을 통해 동작하는 '프로세스' 가 된다. 프로세스는 CPU 자원을 사용하고 운영체제의 관리를 받으며, 프로그램 코드를 실제로 실행하는 동적인 개체 이중 눈에 보이지 않는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를 유닉스 체계의 운영체제에서는 데몬(daemon)이라고 부르고, 윈도우 운영 체제에서는 서비스라고 부른다. 프로그램은 어떤 과정을 거쳐 메모리에 적재되는가? 프로그램이 메모리에 적재되는 일반적인 과정 1. 프로그램 실행 요청: 특정 프로그램을 실행하라는 명령을 운영체제에 전달 2. .. 이전 1 다음